세상의 모든 정보 626

“이게 그거랑 뭐가 달라요?” (같은 듯 다른 제도들)

“이게 그거랑 뭐가 달라요?” (같은 듯 다른 제도들)헷갈리기 쉬운 제도들, 쉽게 풀어드립니다1. 국민연금이랑 건강보험은 왜 다 내요?두 가지 다 매달 빠져나가서 헷갈리는 분들 많습니다.국민연금은 나이 들어서 연금처럼 돈 받는 제도고요,건강보험은 병원 갔을 때 혜택 받는 거예요.✔ 국민연금 → 노후 대비✔ 건강보험 → 병원비 지원같은 보험처럼 보여도 목적이 완전히 달라요.2. 퇴직금이랑 퇴직연금이 같나요?둘 다 퇴직하고 받는 돈인데요,퇴직금은 퇴사할 때 한 번에 받는 거고,퇴직연금은 회사가 미리 금융사에 적립해두었다가나중에 연금처럼 나눠서 받는 거예요.✔ 퇴직금 → 회사가 바로 줌✔ 퇴직연금 → 금융사가 나눠 줌3. 주민등록증이랑 주민등록등본, 이름만 다른가요?전혀 다릅니다.주민등록증은 내 신분을 증명하..

그 말엔 이야기가 있다 – 전통 속에서 건져 올린 표현들

그 말엔 이야기가 있다 – 전통 속에서 건져 올린 표현들장터가 열리던 날이면 마을 입구부터 발 디딜 틈이 없었다.사람들은 바구니를 들고, 아이들은 달려가고, 멀리서 보면 줄이 하나의 벽처럼 이어졌다.그 풍경을 기억하던 어르신들은 요즘도 긴 줄을 보면 이렇게 말하신다.“와, 장사진이네.”그런가 하면, 집안에서는 바가지를 씻다가 툭 깨져버린 날도 있었다.쓸모를 잃은 그 바가지는 한쪽 구석에 놓이곤 했다.어느 날은 그 깨진 바가지를 긁는 소리가 괜히 거슬렸다.누군가 투덜거리며 말했다.“바가지 긁지 좀 마.”물이 엎질러졌을 땐 어땠을까.급하게 달려가 닦아봐도, 밑으로 흘러들어간 물은 다시 담을 수 없었다.그때의 체념이 지금도 전해진다.“엎질러진 물이야, 어쩌겠니.”모두가 기대했던 일이 수포로 돌아갈 때면사람들은..

낯설지만 가까운 말들 – 현대인의 언어 속 라틴어 10선

낯설지만 가까운 말들 – 현대인의 언어 속 라틴어 10선목차Carpe DiemCurriculum VitaeEt Cetera (etc.)Per SeStatus QuoVox PopuliAd HocMea CulpaDe FactoAlma Mater1. Carpe Diem고전 라틴어 문학을 통해 알려진 이 표현은 "현재를 붙잡아라"는 의미로 번역된다.로마 시인 호라티우스의 시에 처음 등장한 이 말은,현대에 이르러 '오늘을 살자', '지금 이 순간을 즐기자'는 철학적 태도의 상징처럼 사용되고 있다.‘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영화의 주요 대사로 인해 대중화되었다.2. Curriculum Vitae흔히 줄여서 'CV'라고 부르는 이 표현은 ‘삶의 이력’이라는 뜻을 지닌 라틴어다.우리말의 ‘이력서’에 해당되며, 특히 학문..

"이거 맞아?" 자꾸 헷갈리는 맞춤법 10가지

"이거 맞아?" 자꾸 헷갈리는 맞춤법 10가지목차안 되다 vs 안되다되 vs 돼왠지 vs 웬지어떡해 vs 어떻게않다 vs 안다되었다 vs 됐다밖에 vs 밖에헷갈리다 vs 헛갈리다~일지 vs ~일찌나도 모르게 붙여 쓰는 말들1. 안 되다? 안되다?문장 속에서 "이거 안되는데?"라고 썼다면,잠깐! 그건 띄어 써야 할지도 모릅니다.‘안 되다’는 ‘안(부정)’ + ‘되다(동사)’의 조합이에요.안 돼, 안 되는, 안 돼요 등은 다 띄어 써야 맞습니다.반대로 ‘안되다’는 형용사입니다. 일이 잘 안 풀릴 때, 예를 들면“요즘 집안 사정이 안되네…”처럼 쓰입니다.2. 되 vs 돼“그거 되?”라고 쓰면, 어딘가 낯설지 않나요?‘되’는 기본형이고, ‘돼’는 ‘되어’의 줄임이에요.“이거 돼?”는 맞고, “이거 되?”는 틀립..

한국어 속 일본어 잔재 TOP 10 – 일상 속에 남아 있는 표현들

한국어 속 일본어 잔재 TOP 10 – 일상 속에 남아 있는 표현들목차다마오뎅고무신단도리곤조야끼니꾸다대기시다바리벤또데리야끼1. 다마뜻한국에서는 흔히 ‘총알’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며,군대나 경찰 조직 내에서 자주 쓰입니다.어원 및 설명‘다마(たま, 玉)’는 일본어로 구슬이나 알을 뜻합니다.일본에서는 총알을 ‘다마’라고 부르며, 이 표현이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한국 사회 곳곳에 남게 되었습니다.사용 예시“다마 장전했어?”, “다마 떨어졌어” 등의 군대식 표현에서 여전히 사용됩니다.2. 오뎅뜻가공된 어묵을 꼬치에 끼워 국물에 끓인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어원 및 설명‘오뎅(おでん)’은 일본식 어묵 요리를 가리키는 단어입니다.원래 일본에서 '오뎅'은 간장 베이스의 국물에 다양한 재료를 넣고 끓인 요리를 뜻합니..

지명 속에 숨겨진 이야기 – 우리가 몰랐던 도시 이름의 뜻

지명 속에 숨겨진 이야기 – 우리가 몰랐던 도시 이름의 뜻목차서울부산인천대전대구광주춘천강릉제주안동1. 서울우리가 너무도 익숙하게 부르는 ‘서울’이라는 말에는 흥미로운 배경이 숨어 있습니다.사실 ‘서울’은 한자로 쓰이지 않는 순우리말입니다.오래전부터 사람들은 나라의 수도를 ‘서라벌’이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점차 ‘서울’이라는 말로 바뀐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조선 시대의 공식 수도는 한양이었지만, 백성들 사이에서는 그냥 '서울 간다'는 식으로 표현했지요.정확히 언제부터 이렇게 불리기 시작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분명한 것은 지금까지도 유일하게 한자가 없는 한국의 수도라는 점입니다.2. 부산부산의 이름에는 지형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바다와 접한 항구 도시지만, 그 이름의 뿌리는 바다보다는 산입니다.‘부’..

자주 쓰이는 우리말 표현의 어원과 의미 정리

자주 쓰이는 우리말 표현의 어원과 의미 정리목차십시일반개천에서 용 난다울며 겨자 먹기도토리 키재기제 눈의 들보는 못 보고 남의 티만 본다그림의 떡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말 한 마디에 천 냥 빚도 갚는다누워서 침 뱉기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1. 십시일반 (十匙一飯)의미많은 사람이 조금씩 힘을 보태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의 표현이다.어원 및 배경'시(匙)'는 숟가락, '반(飯)'은 밥을 의미하며, 중국 고사에서 유래된 말이다.한 마을 사람들이 각각 밥 한 숟갈씩 모아 어려운 이웃을 도운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활용 예시자선 단체의 모금 활동, 온라인 크라우드펀딩 문구 등에서 자주 사용된다.2. 개천에서 용 난다의미비천한 출신이거나 어려운 환경에서 성장한 사람이 크게 성공한 경우를 이른..

천주교와 불교의 공통점 정리

천주교와 불교의 공통점 정리천주교와 불교는 각각 서양과 동양의 대표적인 종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두 종교는 교리와 신관(神觀)에 있어 차이가 크지만, 역사적으로나 사회적 기능 면에서 유사한 측면도 다수 존재한다. 다음은 천주교와 불교가 공유하고 있는 주요 공통점이다.1. 자비와 사랑을 핵심 가치로 삼음천주교는 이웃 사랑과 자비, 용서를 실천하는 삶을 강조한다. 이는 ‘하느님은 사랑이시다’는 교리에서 비롯된다.불교는 자비(慈悲)와 연민(憐憫)을 중시하며, 모든 중생을 평등하게 여기는 마음가짐을 강조한다.두 종교 모두 타인을 위한 이타적인 삶을 중요한 신앙적 실천으로 삼는다.2. 윤리적 삶과 도덕 실천 강조천주교는 십계명을 비롯한 윤리적 계율을 통해 신자들이 선한 삶을 살도록 지도한다.불교는 오계(五戒),..

중장년에게 힘이 되는 말들

중장년에게 힘이 되는 말들이 글은 내가 한동안 마음이 무너져 있었을 때, 스스로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정리해본 말들이다.요즘 들어 부쩍 많은 분들이 지친다는 얘기를 한다.사는 게 예전같지 않다고, 점점 용기가 줄어든다고 말하는 걸 듣고 나 역시 많은 생각이 들었다.그래서 오늘은 내 경험과 함께, 중장년의 삶에 작게나마 힘이 되는 말들을 정리해보려 한다.“지금 시작해도 늦지 않았다”이 말을 예전에는 그냥 위로하려고 하는 말로 들었다.하지만 어느 날 문득, 하고 싶었던 일을 마음속으로만 간직한 채 나이만 먹어가는 나 자신을 보며 스스로에게 묻게 되었다.정말 늦었을까?그리고 조금씩 다시 해보았다.작은 공부부터, 취미부터, 새 사람을 만나는 일까지.시작하고 나니 늦은 게 아니었다.단지 망설였을 뿐이었다.“세상은..

1인 사업자 등록, 어떻게 시작할까?

1인 사업자 등록,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할까?프리랜서, 소규모 쇼핑몰, 유튜버, 디자이너, 강사 등혼자서 수익 활동을 시작하려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것이 사업자 등록이다."나는 소득이 얼마 안 되는데도 꼭 등록해야 할까?""어디 가서 신청하는 거지?"이런 질문을 갖고 있는 예비 사업자를 위해,이 글에서는 1인 사업자 등록 절차를 처음부터 끝까지 정리한다.1. 1인 사업자란?혼자서 수익을 창출하는 모든 개인은 개인사업자로 사업자 등록이 가능하다.1인 쇼핑몰 운영자, 콘텐츠 크리에이터, 카페 사장, 학원 강사, 디자이너, 개발자 등 형태는 다양하다.사업자 등록은 소득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영리 목적의 활동을 한다면 원칙적으로 등록해야 한다.2. 사업자 등록이 필요한 이유세금 문제를 명확히 처리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