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속 일본어 잔재 TOP 10 – 일상 속에 남아 있는 표현들
목차
- 다마
- 오뎅
- 고무신
- 단도리
- 곤조
- 야끼니꾸
- 다대기
- 시다바리
- 벤또
- 데리야끼
1. 다마
뜻
한국에서는 흔히 ‘총알’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며,
군대나 경찰 조직 내에서 자주 쓰입니다.
어원 및 설명
‘다마(たま, 玉)’는 일본어로 구슬이나 알을 뜻합니다.
일본에서는 총알을 ‘다마’라고 부르며, 이 표현이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한국 사회 곳곳에 남게 되었습니다.
사용 예시
“다마 장전했어?”, “다마 떨어졌어” 등의 군대식 표현에서 여전히 사용됩니다.
2. 오뎅
뜻
가공된 어묵을 꼬치에 끼워 국물에 끓인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어원 및 설명
‘오뎅(おでん)’은 일본식 어묵 요리를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원래 일본에서 '오뎅'은 간장 베이스의 국물에 다양한 재료를 넣고 끓인 요리를 뜻합니다.
한국에서 ‘오뎅’이라는 표현은 일제 강점기부터 사용되었고, 현재는 ‘어묵’이라는 순화어 사용이 권장됩니다.
사용 예시
학교 앞 분식집에서 “오뎅 두 개 주세요”라는 표현이 여전히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3. 고무신
뜻
검은색 또는 흰색의 고무 재질로 된 신발을 뜻합니다.
어원 및 설명
‘고무신’은 일본어 ‘고무즈쿠(ゴム靴, 고무 구두)’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무(Gomu)는 그대로 차용되었고, 신은 ‘신발’을 의미합니다.
사용 예시
“군화 신고 고무신 거꾸로 신는다”는 표현처럼, 주로 군대와 연애를 연결하는 관용어에도 사용됩니다.
4. 단도리
뜻
사전 준비, 미리 계획을 짜두는 행위를 말합니다.
어원 및 설명
‘단도리(段取り)’는 일본어로 ‘단계적 절차나 준비’를 뜻하는 말로,
‘어떻게 어떤 순서로 일을 처리할 것인지’를 정리하는 개념입니다.
한국에서는 주로 건설, 행정, 조직 운영 등에서 “단도리 잘해야 돼”와 같은 표현으로 널리 퍼졌습니다.
사용 예시
회의 전 미리 작업 순서를 정할 때 “단도리 다 해놨냐?”라는 말이 등장합니다.
5. 곤조
뜻
고집, 신념, 꺾이지 않는 태도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어원 및 설명
‘곤조(根性, こんじょう)’는 일본어로 '근성'을 뜻합니다.
우리말의 ‘의지’나 ‘끈기’와는 조금 다르며, 다소 부정적인 의미로 고집을 나타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용 예시
“쟤는 진짜 곤조 세다”처럼 다소 비판적인 뉘앙스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6. 야끼니꾸
뜻
불에 구운 고기 요리를 뜻하는 일본식 단어입니다.
어원 및 설명
‘야끼(焼き)’는 굽다, ‘니꾸(肉)’는 고기를 의미하여
‘야끼니꾸(やきにく)’는 직역하면 ‘구운 고기’가 됩니다.
한국에서 일부 음식점 간판이나 메뉴판에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용 예시
고깃집에서 “오늘 야끼니꾸 땡기네” 같은 말을 쓰기도 합니다.
하지만 정확한 한국어는 ‘불고기’ 혹은 ‘구이’입니다.
7. 다대기
뜻
고추장이나 양념장을 섞어 만든 매운 양념을 지칭하는 표현입니다.
어원 및 설명
‘다대기’는 일본어 ‘타다키(たたき)’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본래 일본에서는 다진 고기나 재료를 두드려서 만든 음식에 이 단어를 사용합니다.
한국에서는 육수에 양념을 풀기 위해 고기를 다져서 넣는 과정과 연결되어, 이 말이 차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사용 예시
국밥집에서 “다대기 넣을까요?”라는 질문은 아직도 흔히 들을 수 있습니다.
8. 시다바리
뜻
주된 업무가 아닌 잔심부름이나 허드렛일을 하는 사람을 지칭합니다.
어원 및 설명
‘시다’는 일본어 ‘시타(下)’에서 왔으며, ‘아래’ 또는 ‘밑’을 뜻합니다.
‘바리’는 일본어 ‘바루(張る)’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정확한 원형은 명확하지 않지만
한국에서는 ‘밑에서 받쳐주는 역할’이라는 의미로 굳어졌습니다.
사용 예시
“나는 신입이라 아직 시다바리만 해”라는 표현에서 종종 들을 수 있습니다.
9. 벤또
뜻
도시락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어원 및 설명
‘벤또(べんとう)’는 일본어 ‘弁当’의 발음 그대로이며,
본래는 음식을 담아 이동 중에도 먹을 수 있도록 만든 한 끼 식사를 의미합니다.
한국에서도 한동안 이 표현이 그대로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도시락’이라는 순화어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사용 예시
예전 드라마나 학원물에서 “벤또 싸왔다”는 표현이 자주 등장했습니다.
10. 데리야끼
뜻
단맛이 나는 간장 베이스의 소스를 활용한 요리 방식 또는 그 소스를 가리킵니다.
어원 및 설명
‘데리(照り)’는 윤기, 광택을 의미하며, ‘야끼(焼き)’는 굽다라는 뜻입니다.
즉, ‘윤기 있게 구운’이라는 말로, 일본의 전통 양념 기법에서 비롯된 단어입니다.
한국의 일부 요식업에서 ‘데리야끼 소스’, ‘데리야끼 치킨’ 등으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용 예시
패스트푸드 메뉴명에서 ‘데리야끼 버거’, ‘데리야끼 덮밥’이라는 표현이 흔히 보입니다.
'세상의 모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낯설지만 가까운 말들 – 현대인의 언어 속 라틴어 10선 (0) | 2025.04.24 |
---|---|
"이거 맞아?" 자꾸 헷갈리는 맞춤법 10가지 (0) | 2025.04.24 |
지명 속에 숨겨진 이야기 – 우리가 몰랐던 도시 이름의 뜻 (0) | 2025.04.24 |
자주 쓰이는 우리말 표현의 어원과 의미 정리 (0) | 2025.04.24 |
천주교와 불교의 공통점 정리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