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정보

세계 7대 불가사의가 만들어질 당시한국은 어떤 역사 속에 있었을까?

mymymy1003 2025. 4. 15. 14:34
반응형

세계 7대 불가사의가 만들어질 당시

한국은 어떤 역사 속에 있었을까?


📌 먼저, 세계 7대 불가사의란?

고대 그리스인들이 선정한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는 다음과 같다.

순번 이름 위치 건설 시기
1 기자의 대피라미드 이집트 기원전 2580년경
2 바빌론의 공중정원 이라크 기원전 600년경
3 제우스 신상 그리스 올림피아 기원전 435년경
4 아르테미스 신전 터키 에페수스 기원전 550년경
5 마우솔로스 영묘 터키 할리카르낫소스 기원전 350년경
6 로도스의 거상 그리스 로도스섬 기원전 292년경
7 알렉산드리아의 등대 이집트 파로스섬 기원전 280년경

이제 이 시기들과 당시 한반도의 역사 시점을 나란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1. 기자의 대피라미드 (기원전 2580년경)

→ 한반도: 신석기 후반기에서 청동기 초기로 전환기

  • 이집트에서 가장 먼저 세워진 불가사의로, 4500년 이상 전의 건축물
  • 이 시기 한반도에서는 빗살무늬 토기 문화가 대표적이었고,
    농경 생활이 시작되면서 점차 정착 생활로 나아가던 시기였다.
  • 국가나 왕국은 존재하지 않았고, 부족 단위 공동체 문화가 중심이었다.

2. 바빌론의 공중정원 (기원전 600년경)

→ 한반도: 고조선 후기 (기원전 2333년 전승 기준)

  •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바빌로니아 제국이 번성하던 시기
  • 한국에서는 단군신화에 나오는 고조선이 존재했다는 시기로,
    청동기 문명이 확산되며 정치적 중심 집단의 흔적이 나타나는 시기다.
  • 비파형 동검, 거대한 고인돌 문화, 고조선 8조법금 일부 기록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3. 아르테미스 신전 (기원전 550년경)

→ 한반도: 고조선 후기

  • 이때도 한국은 여전히 고조선이 중심이었고,
    요령·한반도 북부 중심의 강력한 세력으로 성장해 있던 시점
  • 본격적으로 철기 문화가 중국에서 도입되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하다.

4. 제우스 신상 (기원전 435년경)

→ 한반도: 고조선 말기, 위만조선 직전 단계

  • 중국에서는 전국시대가 본격화되던 시기로,
    고조선도 주변 국가들과 접촉하며 중국계 청동기·철기 문화 영향을 본격 수용하게 된다.
  • 이 시기 한반도 남부는 초기 철기 문화권으로 전환 중이었고,
    소국(小國) 형성기로 접어들고 있었다.

5. 마우솔로스 영묘 (기원전 350년경)

→ 한반도: 위만조선 등장 직전

  • 한국사는 고조선 말기, 위만조선(기원전 194년) 탄생 직전 시기
  • 남부 지역은 **진국(辰國)**이 형성되며, 여러 연맹체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점차적으로 부족국가에서 연맹왕국 형태로 발전 중이었다.

6. 로도스의 거상 (기원전 292년경)

→ 한반도: 위만조선 성립기 전야

  • 이 시기는 고조선 말기 혼란기
  • 위만이 등장하여 기존 준왕을 몰아내고 위만조선을 건국하기 직전 시기
  • 남부에서는 삼한(진한, 변한, 마한)의 전신이 되는 소국 연합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음

7. 알렉산드리아의 등대 (기원전 280년경)

→ 한반도: 위만조선 직전

  • 한반도는 여전히 청동기·초기 철기 병존기
  • 고조선은 점차 중국 한(漢)나라와의 마찰이 커지던 상황
  • 문화 교류보다는 독립적인 자생 문명 기반이 주를 이룸

시대 비교 요약

세계 불가사의 시기 (기원전) 한국 역사
대피라미드 2580 신석기 후반기
바빌론 공중정원 600 고조선 후기
아르테미스 신전 550 고조선 후기
제우스 신상 435 고조선 말기
마우솔로스 영묘 350 고조선 말기
로도스 거상 292 위만조선 등장 전야
알렉산드리아 등대 280 위만조선 성립 직전

참고자료

  • 「삼국유사」, 「삼국사기」
  • 『한국사연표』(국사편찬위원회)
  • Encyclopedia Britannica –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 National Geographic History Archives
  • 김정배 외, 『한국사시대별 개설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반응형